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칠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칠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칠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Selección femenina de fútbol de Chile
정식명칭Selección femenina de fútbol de Chile[1]
FIFA 코드CHI
협회칠레 축구 연맹 (FFC)
연맹남미 축구 연맹 (CONMEBOL)
감독호세 레텔리에르 (José Letelier)
주장크리스티아네 엔들레르 (Christiane Endler)
최다출전자
최다득점자프란시스카 라라 (Francisca Lara, 20점)
홈 구장에스타디오 나시오날 훌리오 마르티네스 프라다노스
첫 국제경기 출전브라질 (1:6 패), 브라질 마링가 (1991년 4월 28일)
최다 점수차 승리볼리비아 (11:0 승), 브라질 우베를란지아 (1995년 1월 8일)
최다 점수차 패배아르헨티나 (0:8 패),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 (2006년 11월 12일)
별칭Las Chicas de Rojo (붉은 숙녀들)
월드컵출전 1회 (2019)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출전 8회,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2회 (1991, 2018)
올림픽출전 1회 (2021)
FIFA 랭킹41위
(2023년 6월 9일 기준)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하의410
양말

1. 개요
2. 역대 성적
3. 통계
3.1. 최다 득점자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칠레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기량은 남자 대표팀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며, 인프라에 비해 실력이 높지 않은 편이다. 그리고 다른 남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브라질, 아르헨티나에 비하면 여자 축구의 발전이 늦은 편이다.

대한민국과의 전적은 아직 없다.


2. 역대 성적[편집]



2.1. FIFA 여자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중국 국기.svg 1991년지역 예선 탈락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5년
파일:미국 국기.svg 1999년
파일:미국 국기.svg 2003년
파일:중국 국기.svg 2007년
파일:독일 국기.svg 2011년
파일:캐나다 국기.svg 2015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9년조별리그17위3310225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23년지역 예선 탈락
합계출전 1회3310225


2.2.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편집]


  • 1991년: 준우승
  • 1995년: 3위
  • 1998년: 조별리그
  • 2003년: 조별리그
  • 2006년: 조별리그
  • 2010년: 3위
  • 2014년: 조별리그
  • 2018년: 준우승
  • 2022년: 조별리그


2.3. 올림픽[편집]


연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미국 국기.svg 1996년지역 예선 탈락
파일:호주 국기.svg 2000년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년
파일:중국 국기.svg 2008년
파일:영국 국기.svg 2012년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년
파일:일본 국기.svg 2021년조별리그?위0300325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년지역 예선 탈락
합계출전 1회0300325


3. 통계[편집]



3.1. 최다 득점자[편집]


순위선수명득점수출장수평균 득점경력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9 10:14:23에 나무위키 칠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페인어: 셀렉시온 페메니나 데 풋볼 데 칠레